중요...! 요청을 어디로 보낼지 잘 결정하는 것
사용자 수가 늘고, 트래픽이 많아질수록 꼭 필요한 기술이 있습니다.
안정적이고 빠른 서비스 운영을 위해 꼭 필요한 바로 그것,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입니다.
로드 밸런싱이란, 서버에 몰리는 요청을 여러 서버에 나눠주는 기술로, 트래픽을 분산시켜 서비스 성능을 높이고 장애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트래픽이 한 곳에 몰리면 응답이 느려지고, 심할 경우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요청을 어디로 보낼지 '잘 결정하는 것' 자체가 서비스 품질의 핵심입니다.
라운드 로빈, 그 맹점을 찾아
로드 밸런싱 방법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건 라운드 로빈(Round-Robin) 방식입니다. 정해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돌아가면서 요청을 분배하는 방법이죠. 언뜻 보기에는 공정해 보이지만, 정말 공정한 분산 방식일까요?
대형 마트에서 계산하려고 줄을 서고 있을 때, 이런 고민을 해본 적 있으신가요?
"어디 줄이 제일 빨리 빠질까...?"
"왼쪽 줄은 짧은데, 앞 사람 카트에 물건이 너무 많네..."
"오른쪽은 줄이 좀 길지만, 계산원 손이 엄청 빠르네!"
내 앞의 줄이 짧다고 해서 계산을 항상 빠르게 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물건의 양, 계산원의 속도에 따라 실제로는 더 오래 걸리는 줄이 있을수 있죠. 하지만 라운드 로빈은 이런 여러가지 서비스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손님을 온 순서대로 무작정 계산대로 보내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어떤 서버는 이미 사용률이 높아 Busy한 상황인데도 계속 요청을 받고, 어떤 서버는 여유가 있는데도 요청이 안 오는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응답 시간이 들쑥날쑥 일정하지 않아 불만이 있을 수 있고, 서비스 전체 성능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최적화 라우팅, 자동화 by API NetFUNNEL
API 넷퍼넬(API NetFUNNEL)이 제공하는 최적화 라우팅은 마치 대기줄 길이 뿐 아니라, 계산대의 실제 처리 속도까지 고려해서 가장 빨리 계산할 수 있는 줄로 안내해주는 시스템과 같습니다. 서버의 CPU, 메모리, 응답 시간 등의 실시간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현재 가장 여유있는 서버로 요청을 보내주는 방식이죠.
실제 API 넷퍼넬의 최적화 라우팅을 운영해보면, 응답 속도는 더 빨리지고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해집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API 넷퍼넬의 최적화 라우팅은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구분 | 라운드 로빈 | 최적화 라우팅 |
서버 부하 고려 | 없음 | 실시간 분석 |
처리 속도 | 서버에 따라 편차 | 평균적으로 안정적 |
리소스 활용 | 비효율 | 고르게 분산 |
시스템 모니터링과 라우팅을 위한 반복적인 작업에 업무 소요가 할당되는 인적 자원의 운영 비효율, 소수의 운영자에게 의존해야 했던 운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스마트한 분산 방법이 최적화 라우팅이며, 그것이 바로 API 넷퍼넬이 IT 운영의 기본이 되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
API 넷퍼넬은 부하 상황에서 즉시 응답을 하지 않고, 요청을 대기열에 넣은 후 부하가 해소되면 처리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이용자의 Retry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이로 인한 비용 문제를 회피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전 정의된 우선순위 정책에 따라 중요한 요청을 먼저 처리할 수 있어, 서비스 운영 측면에서의 QoS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API 넷퍼넬의 주요 기능과 효과, 그리고 다양한 고객 환경과 서비스에서의 사례는 앞으로 더 자세히 전달해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관심 가지고 지켜봐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문의)
솔루션 관련 문의 작성하기[클릭]
https://www.stclab.com/product/api-netfunnel
API넷퍼넬 | API 운영 환경에서 트래픽 제어하기
API-NetFUNNEL은 우선순위 반영으로 최적의 API 트래픽 처리를 결정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www.stclab.com
'Business > API NetFUNN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정부 혁신 콘퍼런스]에서 만난 API 트래픽 제어 - API 넷퍼넬 (0) | 2025.09.01 |
---|---|
[API 넷퍼넬 노트] API 트래픽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는? (0) | 2025.08.22 |
[생성형 AI 플랫폼] 운영 비용 통제 방안, 어떻게 접근해야? (3) | 2025.07.21 |
[API 넷퍼넬 노트] "나 멀쩡해요~" 금융권 API 필수 요건, 선제 응답! (0) | 2025.06.19 |
[API 넷퍼넬 노트] 유량제어 측면에서 Rate Limiting이 가지는 문제점을 고찰해보자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