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brary

[버라이어티 of 트렌드] 최고의 팀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gbKq4XPaytDVBWmBZ6HAhKby36ZaNQ== 🧢 개인의 생산성은 '어떤 커뮤니티에 속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썸원의 [Summary & Edit] stibee.com NBA 현장에서 늘 예상을 뛰어넘는 승리를 쟁취하며 명장의 반열에 오른 샌안토니오 스퍼스의 전설, 그렉 포포비치 감독과 그의 팀의 성공 비결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렉 포포비치는 역사상 가장 많은 승수를 기록한 감독으로서 그의 커리어를 따라잡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는 감독인데요, 많은 사람들이 분석하는 그의 성공 비결은 바로 ‘팀을 이기적인 상태에서 탈출시켰다’는 것입니다. 그렉 포포비치 감독의 성공비결 재능이 뛰어난 선.. 더보기
[버라이어티 of 트렌드] 게으름인지 번아웃인지 5분만에 구분하는 방법 https://www.youtube.com/watch?v=9kVqGE5W3bI 나는 게으름? 번아웃? 요즘 일에 집중도 안되고, 무기력감이 든다던지, 번아웃이 온 것 같다 하시는 분들께 추천하는 영상입니다. 영상에서는 게으름과 번아웃의 차이를 다루고 있습니다. 사실 게으름과 번아웃은 한끗 차이라고. 내가 지금 느끼고 있는 나의 상태가 번아웃이 아닌 그저 게으르기 때문(?) 일 수 있습니다. 감정적 게으름, 정신적 게으름, 행위적 게으름…. 게으름의 종류도 이렇게나 다양합니다. 게으름 = 시작하기도 전에 하기 싫고, 계획 못 짜고, 끝까지 못 하는 상태 번아웃 = 열심히 하다가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가 고갈된 상태 그렇다고 게으름이 꼭 나쁜 것 만은 아닙니다. 게으름은 한 덩어리의 일을 마무리하고, 잠시 .. 더보기
[거인의 어깨 #18] 브랜드 마케터들의 이야기 [거인의 어깨 #18] 브랜드 마케터들의 이야기 더보기
[버라이어티 of 트렌드] 당신의 직업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있나요? https://careerly.co.kr/comments/49812?utm_campaign=user-share 이승준 / 《아파도 참고 계속하는 게 '열정'이 | 커리어리 《아파도 참고 계속하는 게 '열정'이 아닙니다》 1️⃣ University of Michigan 사회학자 P... careerly.co.kr 열정이란 무엇일까요? 사람들은 열정에 대해 몇 가지 오해하고 있는 사실이 있습니다. University of Michigan의 사회학자 Patricia Chen은 우리가 오해하고 있는 요소를 이렇게 정리합니다. 1. 열정은 고정적이다 2. 사람들은 어떤 분야에 대해 열정을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있지 않다 3. 열정은 발견하는 것이다. 하지만 Patricia Chen이 말하길 열정은 개발되는 것이라.. 더보기
[때때로 찾아가는 북식당 #9] 콘텐츠 머니타이제이션-김용태 더보기
[버라이어티 of 트렌드] 전통의 종이신문에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사례로-뉴욕 타임즈 https://blog.naver.com/cjswofyd/222648254521 디지털 생태계로 전환한 뉴욕타임즈의 성공 비결 (ft.MKYU) MKYU 새벽 기상 챌린지가 어제로 끝나 오늘부터는 강의가 없어 무엇을 기록할까 고민했다. 그러나 아침... blog.naver.com https://www.youtube.com/watch?v=l9U90egpipQ 얼마 전 유료 구독자 1,000만명 소식을 알리며 성공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례로 소개되고 있는 뉴욕타임즈 영상을 공유드립니다. 뉴욕타임즈는 1851년 창간된 미국 뉴욕 일간지로 미국 신문사의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지난 4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타임즈는 디지털 뉴스 구독자 590만 명, 게임·요리 등 기타 디지털 콘텐츠 구독자 20.. 더보기
[버라이어티 of 트렌드] 피드백, 효과적으로 하는 두가지 방법 https://brunch.co.kr/@flexteam/74 피드백, 효과적으로 하는 2가지 방법 인정과 피드백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 넷플릭스의 인사 원칙을 다룬 책 '규칙없음'의 공동 저자인 에린 마이어 교수는 넷플릭스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다 특이한 경험을 합니다. brunch.co.kr 적절한 피드백은 우리가 일을 하거나 삶을 살아가면서 경험할 일들에 대하여 오류와 실수를 줄이고 더 나은 성장과 성과, 인정을 얻기 위해 매우 필요한 과정입니다. 가장 유명한 멀티미디어 엔터테인먼트 OTT 기업 넷플릭스에서는 넷플릭스만의 피드백 원칙을 세우고 실천하고 있다고 합니다. 성장을 위한 쓴소리를 효과적으로 주고 받는 방법, 넷플릭스 4A 규칙 1. Aim to assist (도움을 주겠다는 생각.. 더보기
[버라이어티 of 트렌드] 부드러운 역량과 딱딱한 기술 https://www.redbusbagman.com/softskillandhardskill/ 부드러운 역량 vs. 딱딱한 기술 | RBBM 일을 오래 할수록 더 중요한 것은 소프트 스킬입니다. 매니저가 된다면 스스로 성과를 내는데 무기가 되어주던 하드 스킬의 효용은 떨어지고, 그동안 무기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글쓰기나 설득 www.redbusbagman.com 하드 스킬 vs 소프트 스킬 업무기술은 크게 하드 스킬(=딱딱한 기술)과, 소프트 스킬(=부드러운 역량)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두 스킬은 서로 매우 다른 형식의 스킬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하드 스킬은 실제로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포함하는 스킬, 소프트 스킬은 피플 스킬로 커뮤니케이션, 팀워크를 포함하며 비교적 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