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siness/API NetFUNNEL

[API 넷퍼넬 노트] Quota(쿼터) 설정 필수! 단 한 명의 사용자가 전체 서비스를 망칠 수도 있습니다.

 

단 한명의 사용자가 모든 서비스에 영향을...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한정된 리소스가 있습니다. 이때, 특정 사용자가 혼자서 리소스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다른 사용자들에게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한 사람으로 인해 모든 사용자의 서비스 응답이 느려지거나, 아예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단 한명의 과도한 사용자가 모든 사용자의 서비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단 한명의 과도한 사용자가 모든 사용자의 서비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려면, 누가 얼마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제한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Quota(쿼터)라는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Quota에 대해 알고 싶다.

 

Quota는 사용자 혹은 서비스가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의 양을 제한하는 정책입니다. 쉽게 말해, "누가 얼마나 자주, 얼마나 많이 쓸 수 있는지를 정해두는 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필요한가]

#. 한정된 리소스를 특정 사용자나 기능이 독점하지 못하도록 막아,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고 성능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 현대의 시스템은 수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하고 요청을 보내는 구조입니다. 만약 이런 환경에서 특정 사용자가 과도하게 자원을 사용한다면, 전체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마비되어 다른 사용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어떤 효과가 있는가]

#. Quota는 단순한 "제한"이 아니라, 시스템을 지키고 모두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공정한 분배의 기준입니다.

- 공정성 확보: 리소스를 소수만 독식하지 못하도록 막고, 다수 사용자가 함께 이용 가능하게 함
- 시스템 안정성 강화: 과도한 요청이나 오남용으로 인한 다운 및 지연을 방지
- 서비스 품질 유지: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응답 제공
- 비용 최적화: 자원 낭비를 줄이고, 유료 플랜으로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음
- 정책 기반 통제 가능: 사용자 그룹 / 사용 목적 / 시간대 등 다양한 기준으로 맞춤형 제한 설정 가능

 

[Qouta 적용 예시]

Quota는 리소스를 나누는 기술이 아니라, 서비스 전체가 무너지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장치입니다.

 

상황 적용 방식
다운로드 서비스 하루 1GB 이상 다운로드 제한
CPU 자원 한 사용자는 최대 10%까지만 사용
서비스 요청(API 요청) URI별 초당 20건 제한
네트워크 대역폭 다운로드 / 업로드 bps 제한

 

[일상에서 함께하는 Quota 예시]

Quota는 단지 서버나 시스템에서만 쓰이는 개념이 아닙니다. 일정량의 사용 제한을 통해 자원의 낭비를 막고, 모든 사용자가 공정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이 개념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다양한 서비스, 기술, 디지털 환경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AI 서비스에서 Quota 개념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나고, 사용자 등급(무료 / 유료)에 따라 성능, 속도, 사용량이 달라지는 구조로 설계되기도 합니다. 

 

영역 예시 설명
통신 데이터 요금제 월 10GB 제공, 초과 시 속도 제한 또는 요금 부과
API 사용 OpenWeatherMap, Kakao API 초당 / 일간 요청 수 제한 존재
AI 이미지 생성 Midjourney, DALL·E 무료 사용자에게 하루 생성 횟수 제한
chatGPT GPT-3.5 무료 / GPT-4 유료 응답 속도 및 이미지 생성 제한
음성 변환 서비스 TTS, STT 일정 길이 이상은 유료 또는 제한

 

 


API NetFUNNEL - Quota 기능 도입

 

API 트래픽 제어 솔루션인 API NetFUNNEL(API 넷퍼넬)에도 "Quota" 기능이 새롭게 도입되었습니다.

 

[기능]

#. 특정 사용자에게는 요청 횟수를 개별적으로 제한

#. 특정 사용자를 제외한 일반 사용자는 고정된 요청 횟수를 동일하게 설정

#. 사용자 식별 헤더에 패턴 매칭*을 통해 범위를 지정

 

*예시)
이제 특정 사용자에 대한 예최 처리, 전체 사용자 대상의 공정한 제어, 동적 식별 기반 정책 설정이 모두 가능해졌습니다.

GET /api/member 요청 시, 헤더 company: stclab 가 일치할 경우 → 일일 최대 500회까지 요청 가능
GET /api/member 요청 시, 헤더 company: * 에 해당하는 경우      → 일일 최대 100회로 제한됨

 

[왜 이제 Quota인가]

Quota는 오래전부터 존재해왔던 개념이지만, 최근 AI 서비스의 대중화와 구독형 모델의 확산으로 인해 "누가, 얼마나 자주, 얼마나 많이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리소스 제어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API NetFUNNEL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과도한 트래픽, 특정 사용자 집중 현상, 자원 독점 문제를 미리 방지하고 보안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Quota 기능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운영자는 사용자별 트래픽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핵심 자원에 대한 예측 가능성과 보호 체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운영중인 서비스의 품질 저하 없이 다양한 사용자 계층에 유연한 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앞으로도 Quota는 단순한 제한을 넘어, API 품질과 사용자 경험을 조율하는 핵심 기술 요소로 지속될 것입니다. API NetFUNNEL은 이러한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더욱 정교한 트래픽 정책, 맞춤형 사용자 관리, 그리고 지속 가능한 API 플랫폼 구조로 발전해 나갈 계획입니다. 

 

 

 

문의)
솔루션 관련 문의 작성하기[링크 클릭]

 

 

API넷퍼넬 | API 운영 환경에서 트래픽 제어하기

API-NetFUNNEL은 우선순위 반영으로 최적의 API 트래픽 처리를 결정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www.stclab.com